![Article Title](https://tistory1.daumcdn.net/tistory/342254/skin/images/icon_post_title.gif)
☞ http://landliberty.org/xe/intro1 ( 희년함께 )
☞ https://www.facebook.com/jubileetogether/ : 희년함께
☞ http://landjustice.or.kr/soga1.htm ( 토지정의시민연대)
☞ http://blog.naver.com/good_being/110106388893 ( 대천덕, 토지와 경제정의, 홍성사 )
☞ About 헨리 조지
- http://en.wikipedia.org/wiki/Henry_George ( Henry George )
- http://translate.google.co.kr/translate?hl=ko&langpair=en%7Cko&u=http://en.wikipedia.org/wiki/Henry_George ( 헨리 조지 )
- http://www.henrygeorge.org/ ( 헨리 조지 학회 )
- http://vacsoj.tistory.com/entry/진보와-빈곤-헨리조지 ( 진보와 빈곤, 살림 )
☞ http://ya-n-ds.tistory.com/53 ( '하우스리치' )
☞ http://ya-n-ds.tistory.com/162 ( 주거안정 )
☞ http://ya-n-ds.tistory.com/750 ( 땅집 바로잡기 )
☞ http://ya-n-ds.tistory.com/2182 ( 생활임금, 기본소득 )
<캔버라와 헨리 조지>
https://www.facebook.com/permalink.php?story_fbid=pfbid0fppAYFfrTr7dAu67xE5vskrjkEtth2LKmDUSXuBqyUV3nYJKnPKbmg99RVigMFTl&id=100061553941479
( 헨리 조지의 영향으로 영국의 도시 계획가인 에베네저 하워드가 ‘전원 도시’(Garden City)를 구상했는데, 그 전원 도시 계획이 ACT에 반영 )
진보와 빈곤, 도시의 이야기 – 헨리 조지 『진보와 빈곤』을 읽고
https://ecosophialab.com/진보와-빈곤-도시의-이야기-헨리-조지-『진보와-빈곤/
<토지(천연물)의 독자성과 중요성에 관하여>
https://www.facebook.com/namgi.up/posts/pfbid02i5LYjim3HNh32mgHcLiWUZMox5K9zyRiX8cAzrFoTcRkkgvjbkTCcn5cMecmJkkXl
( 분배 정의론을 제대로 구성하려면 토지(천연물)를 독자적으로 다루지 않으면 안 된다. 토지는 '능력주의'에서 말하는 개인의 능력과 무관하다 )
< 신성모독 >
https://www.facebook.com/jubileetogether/posts/2105636679588620
[파워인터뷰] '희년함께' 남기업 공동대표 ? 토지세와 기본소득
부동산 소유 여부, 기대감과 열패감 교차
토지세 수입으로 기본소득 나누자
부동산 기대수익률 낮추고, 토지세 올려야
국가가 땅 매입, 임대하면 투기 줄어
땅에 대한 기대수익률이 줄어야
www.nocutnews.co.kr/news/5511195
[경제와 세상] 헨리 조지 학파의 항변
헨리 조지 저서 '진보와 빈곤'
증세로 불로소득 차단 주창
文정부는 보유세 강화 회피
정책 틀 만든 김수현 사단에 조지학파 딱지는 어불성설
https://www.yeongnam.com/web/view.php?key=20210128010003784
[알릴레오 북's 9회] 진보와 빈곤 / 10년 후 부자가 되고 싶다면
[알릴레오 북's 8회] 진보와 빈곤 / 왜 빈곤은 사라지지 않는가?
"부동산 문제? 해법은 언제나 우리 발 아래!"
'조지스트(Georgist)' 거시 경제학자 메이슨 개프니(Mason Gaffney)
https://www.hankookilbo.com/News/Read/A2020090316110001605
https://www.sisain.co.kr/?mod=news&act=articleView&idxno=32897
[204호 예수와 토지법①] 구약 성경이 디자인하는 평균지권사회
http://n405.ndsoftnews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22410
초대 교부와 종교개혁자는 토지 불로소득 어떻게 봤나
다시 보는 희년 학교 - 성경과 교회사 속 희년 연구하는 김유준 목사
http://www.newsnjoy.or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212499
마르크스, 헨리 조지, 토지사유제, 그리고 기본소득 ( 남기업 )
https://www.facebook.com/namgi.up/posts/1373842835992182
( 마르크스 : 토지의 사적 소유 ~ 노예 소유 )
< 온전한 복음 > ( 대천덕 )
https://www.facebook.com/jubileetogether/videos/vb.711481689004133/759254990893469/?type=3&theater
[정치 톺아보기] 서민빚 123억, 이틀 세비로 탕감한 비결은?
더민주 ‘마술종이 불쇼’
http://www.hankookilbo.com/v/c514d8cfdcdc4f6f9a0301c353241479
"10억 원 놓고 붙자" 이재명 시장, FC서울에 '빌리언 대전' 제안
http://sports.media.daum.net/sports/soccer/newsview?newsId=20160510110035291
( '롤링 주빌리' 운동 )
'눈덩이 빚'에 짓눌린 삶, '주빌리은행' 빚탕감으로 새출발
주빌리은행-성남시, 특정인 장기 부실채권 사들여 채무조정
http://media.daum.net/economic/consumer/newsview?newsid=20150924173343300
성남시 100여 교회, '빚 탕감 프로젝트' 시작
부활절 헌금으로 부실 채권 매입 후 소각 계획…"부채 탕감은 희년 정신과 맞닿아 있어"
http://www.newsnjoy.or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198526
차준희 교수의 구약 제대로 읽기
29 '안식년과 희년' (CBS 성경사랑방 115회)
https://youtu.be/bjJpAyyX4Jw
( 희년, 제도화된 '출애굽 )
'부채 탕감' 선포한 희년 실천 주일
http://m.newsnjoy.or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197437
헨리 조지 선생님의 <사회문제의 경제학> 중에서
https://www.facebook.com/jun.gangsoo/posts/740705892689642
( "단순한 사회에서는 주인과 하인, 이웃과 이웃이 서로 알고, 접촉하며 산다. 그런 접촉이 위기 때 사회를 단결시킨다."
-> 하지만 신자본주의는 논리는 '설국열차'를 열심히 만드는 중~ ^^; )
지식채널e - 두 개의 게임
http://youtu.be/S-UJiWhdyKA
희년이란 '제도 변화'와 '공동체적 돌봄'
'공평과 정의'의 전도사, 김근주 교수 인터뷰
http://m.newsnjoy.or.kr/articleView.html?idxno=191502
"희년은 하나님나라의 질서입니다" ( 전강수 )
http://www.newsnjoy.or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36843
공의로운 사회, 희년의 공동체를 꿈꾸는 방인성 목사
http://www.newsnjoy.or.kr/news/articleView.html?idxno=36737
"토지 공유하면 사회 불평등 해결"
헨리 조지 <노동 빈곤과 토지 정의> 북 콘서트…김윤상·홍세화·방인성·김용민 참여
http://m.newsnjoy.or.kr/articleView.html?idxno=191286
홈즈앤핸즈_한국어
공동체토지신탁(Community Land Trust)
http://vimeo.com/39163606
[기윤실] 07. 어떻게 투표할 것인가_토지주택정책 (남기업)
http://youtu.be/BOk4Gx1-YHk
정치와 제도 논쟁, 대안은 희년이다!
좌클릭의 '최종 목표'와 '구체적 대안'이 무엇인지 밝혀야
http://m.newsnjoy.or.kr/articleView.html?idxno=36888
나가수, 나꼼수, SNS 그리고 희년함께
2012 희년함께 신년 칼럼
http://landliberty.org/xe/letter1/35663
토지 불로소득으로 복지국가를 만들자
땅은 하나님이 모든 사람에게 베푸신 것
http://m.newsnjoy.or.kr/articleView.html?idxno=36812
6인의 학자가 쓴 희년 교과서
< 희년, 한국 사회, 하나님나라 >
http://hongsungsa.com/home/board.php?board=book&sort=user_add39&command=body&no=605
빈곤 종식 방법 둘러싼 페이스북 논쟁
김동호 목사, "기부 통한 나눔이 효과적"…전강수 교수, "제도 개혁이 우선"
http://m.newsnjoy.or.kr/articleView.html?idxno=36646
김동호 목사, 정의를 자비로 때울 수는 없다!
정의와 자비, 제도적 희년과 자원적 희년은 같이 가야
http://m.newsnjoy.or.kr/articleView.html?idxno=36586
"소득세와 토지보유세, 어느 게 더 '좋은 세금'입니까?"
[기고] 정승일 박사의 토지보유세 비판을 반박한다
http://www.pressian.com/article/article.asp?article_num=30110906121223
포이동 주민과 함께하는 연합 예배
7월 24일 오후 4시, 포이동 266번지 재건마을에서
http://m.newsnjoy.or.kr/articleView.html?idxno=35341
성서는 복지국가를 말씀하고 있는가
희년은 자비를 뛰어넘어 정의를 요구한다
http://m.newsnjoy.or.kr/articleView.html?idxno=34693
"예배당 그만 짓고, 우리 거처 챙겨 주세요"
'전·월세 대란 시대 그리스도인은 어떻게 볼 것인가' 포럼
http://m.newsnjoy.or.kr/articleView.html?idxno=34653
로잔언약과 옥스퍼드선언을 넘어서
'만민의 평등한 토지권'이 빠진 선언은 공허하다
http://m.newsnjoy.or.kr/articleView.html?idxno=34389
구약 이스라엘의 토지법에 나타난 공공 토지 임대제
교회가 지지해야 할 북한의 토지개혁 방향
http://m.newsnjoy.or.kr/articleView.html?idxno=34133
희년의 빈민 무이자 대부법
가난한 자에게 자활의 바탕을 마련하라
http://m.newsnjoy.or.kr/articleView.html?idxno=34011
공정국가로 가는 길 ‘희년사상’에서 찾으라
공정국가의 길 제시한 성경적토지모임 남기업 박사
http://www.iwithjesus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3595
재개발 지역에서 쫓겨나는 교회들
김포 ”한강 신도시” 개발 지역…”용산 참사, 남의 일 같지 않더라”
http://www.holynet.info/news/detail.php?number=2886&thread=01r01
“추석 전 주일, 희년 정신을 실천에 옮깁시다”
http://www.newsmission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31517
14일 ‘희년실천주일’ 발대식
http://www.newsmission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31432
'희년의 정신'이 필요하다
['희년의 경제학' 펴낸 전강수 교수]
http://www.iwithjesus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1958
“교회가 ‘희년정신’의 실현 어렵게 만들고 있다”
http://www.newsmission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27499
p.s. [눈에 띄는 신간▶ 그리스도인의 경제도서 3권]
‘하나님이 돈을 맡긴 사람들’ (황은우 지음, 도마의 길 펴냄)
‘하나님의 돈’ (이중수 지음, 목회자료사 펴냄)
‘돈 소유 그리고 영원’ (랜디 알콘 지음, 예영 커뮤니케이션 펴냄)
http://www.iwithjesus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1967
“용산참사, ‘건축 추동하는 욕망의 뿌리’ 잘 드러낸 사건”
http://www.newsmission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2758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