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일터 사람이 보내준 여러 나라의 '중산층 기준'... 확 차이가 나죠.
한국은 결국 '돈'으로 결정되나 봅니다. 그런데, 중산층에 들어가려면?
2011년 통계 자료를 보면, 소득이 얼추 상위 30% 안에 들어야겠네요.
☞ http://blog.naver.com/becky126/90119284359
그런데 '부채 없는 30평 아파트'(지역에 따라 다르겠지만)와 '예금 1억원 이상'이 더해지려면... ^^;;
▣ 한국의 중산층 기준(직장인 대상 설문 결과)
① 부채없는 아파트 30평 이상 소유
② 월 급여 500만원 이상
③ 자동차는 2,000cc급 중형차 소유
④ 예금액잔고 1억원 이상 보유
⑤ 해외여행 1년에 한차례 이상 다닐 것
▣ 프랑스의 중산층 기준(퐁피두대통령이 Qualite de vie ‘삶의 질’에서 정한 중산층의 기준)
① 외국어를 하나 정도는 할 수 있어야 하고
② 직접 즐기는 스포츠가 있어야 하고
③ 다룰 줄 아는 악기가 있어야 하고
④ 남들과 다른 맛을 낼 수 있는 요리를 만들 수 있어야 하고
⑤ 공분’에 의연히 참여할 것
⑥ 약자를 도우며 봉사활동을 꾸준히 할 것
▣ 영국의 중산층 기준(옥스포드대에서 제시한 중산층의 기준)
① 페어플레이를 할 것
② 자신의 주장과 신념을 가질 것
③ 독선적으로 행동하지 말 것
④ 약자를 두둔하고 강자에 대응할 것
⑤ 불의, 불평, 불법에 의연히 대처할 것
▣ 미국의 중산층 기준(공립학교에서 가르치는 중산층의 기준)
① 자신의 주장에 떳떳하고
② 사회적인 약자를 도와야 하며
③ 부정과 불법에 저항하는 것
④ 그 외, 테이블 위에 정기적으로 받아보는 비평지가 놓여있을 것
p.s. 받았던 글의 마지막 부분이 한켠에서 맴돕니다...
"평생을 아파트 넓히는 데에 전력을 다한 어떤이가 말기암으로 고생하며 이제야 살만해졌는데 죽음이 목전에 왔다고 억울해하는 이야기를 들을 때, 무엇이 인생의 가치를 가늠하는 것인가?
평생 집 평수와 화장실 개수나 외제차를 따지다가 죽음을 맞이해야하는 허망함을 무엇으로 달랠 수 있을까?"
p.s. 사람들에게 멜로 전달했더니... 이런 답장이 왔습니다 ㅋㅋ
"중산층의 정의는...
전체 인구를 소득순으로 죽 나열하고,
정가운데 위치한 사람의 소득기준 +-15% 의 소득분위에 해당하는 사람들!!!
이 정의만 놓고 보면 세계에서 가장 중산층 비율이 높은 나라는 북한임."
p.s. 내가 중산층? 그럴리가 있나…
[변상욱의 기자수첩]
http://www.nocutnews.co.kr/news/4041201
※ 다른 '생활의발견' 보기...
http://ya-n-ds.tistory.com/tag/생활의발견